tattertools and blogs

파비콘(Favicon)을 만들었습니다.

관련 포스트

관련 사이트

파비콘(favicon; favorite icon)

qbio님의 블로그에서 파비콘에 대한 글을 읽어보고 저도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.

파비콘은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주소창이나 즐겨찾기(북마크)에 나타나는 작은 로고나 아이콘을 말합니다.

제가 만든 파비콘은 16X16 픽셀의 단순한 Windows 로고입니다.Favicon_Windows_LogoFavicon_Windows_LogoFavicon_Windows_Logo

만드는 방법
  • 16X16픽셀의 그림파일을 만듭니다.
  • 파일을 256색 비트맵으로 저장합니다.
  • 아이콘 파일로 변환시키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favicon.ico 파일로 저장합니다.
  • 파일을 홈페이지 계정에 업로드합니다. (표시될 웹페이지와 동일한 디렉터리)
  • [CODE]마지막으로 아래 코드를 index.html를 비롯해 원하는 웹 문서의 <head> 태그 다음에 넣어줍니다.
    <link rel="shortcut icon" href="/favicon.ico" type="image/ico" />[/CODE]
    (위의 코드는 GatorLog님의 글에서 인용했습니다.)

* 태터 툴즈에 적용시키고 싶으면 스킨 파일(skin.html)에 적용해야 합니다.
물론 favicon.ico 파일도 skin.html 과 동일한 디렉터리에 있어야 겠죠?

결과
주소표시줄에 이렇게 표시됩니다.
덧붙여서..

제가 그림파일을 아이콘 파일로 만드는 데 사용한 프로그램은 Any to Icon입니다.
여러개의 그림파일을 한꺼번에 아이콘으로 바꿀 수 있는 기능이 정말 좋더군요!

[#M_ 스크린샷 보기.. | 그만보기.. |
_M#]

26 Comments

Click here to post a comment
  • 아크몬드님의 블로그 주제와 가장 잘 어울리는 파비콘이네요 =)

    정사각형 속에 놓여져 있는 윈도우즈 로고가 깔끔하게 들어오네요 =)

    축하드립니다.

  • 우앗~; 너무 멋져요. ^^
    블로그 주제를 딱 대변할 만한 파비콘이라니..
    제 블로그는 잡식인지라 딱히 떠오르는 게 없다는..ㅠ.ㅠ;;

  • 헤헷.. 멋있네요.
    저 스킨 이름이 뭔가요.. 메일로 좀 보내주심 안될까요? ^^;
    jungti1234ⓐlycos.co.kr

  • 종광// 시간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..ㅎㅎ

    유노카// 작은 사이즈라 만들기가 힘들었습니다.ㅋ

    hogual// 성공하셨네요? ^^

    bi// 꼭 만드세요.. 보고싶어요~

    카류// ㅎㅎ..

    qbio// 고맙습니다^^

    applevirus// 부끄럽 *_*

    꽃순이// 꽃 이미지로 하는 게 어떨런지(농담입니다)

    A2// 후훗; 고맙습니다.

    Jungti1234// bernzilla 의 Gray Modern 입니다. 제가 제일 좋아하는 FireFox 스킨이죠.

    다운로드 :
    http://www.finalstar.com/grayfox/graymodern0.6.2.jar
    관련 글(제작자의 블로그) :
    http://www.bernzilla.com/item.php?id=373

  • 잘보입니다. =ㅁ=/
    저도 예전에 한번 만들어서 써봤는데 파비콘 자체가 이상해서 ㄱ-;;

  • 방금 전에 성공 했습니다… 이히~ ^^; 설명 감사드립니다… 근데 설명에 부족한 점이 있어서, 제 블로그에다가 따로 부연설명을 올려 뒀습니다… 많이 헤맸습니다… OTL

  • 저녀석잡아라// 할 일이 많다는 것 = 즐거움.. 아닐런지^^

    Guts// 파비콘 만들기 애매하더군요..너무 작으니=_=

    Kou// 어떤 모습으로 만들어질지 궁금하네요.

    fod// 고맙습니다..ㅋ

    571BO// 그렇군요. 전 최대한 간략하게 소개하려고 애썼거든요.

    Ego// 이글루스는 적용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.

    Astralleno// 기대중입니다..흐흐;

  • 와루쿠// ㅎㅎ..

    oopslee// 이번 계기를 통해 파비콘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습니다. 🙂

Archives